윤리 ETHICS

ETHICS.KR


실패하지 않는 윤리를 꿈꾸다


윤리(Ethics)와 도덕(Morals)

도덕과 윤리는 동물의 삶과 인간의 삶을 구분하고 우리 일상의 삶을 유지하는 가치와 행동의 규범이다. 일반적으로 도덕(Morality)은 공동체의 기준에 따라 옳거나 좋다고 여겨지는 개인의 가치이며 윤리(Ethics)는 이러한 도덕이 적용되는 사회적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윤리학자들은 도덕과 윤리의 관계를 ‘개인의 가치를 바탕으로 도덕을 수용하고 윤리를 선택한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덕과 윤리에 대한 이런 식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도덕과 윤리라는 말을 떠올리면 둘 사이의 구분은 흐릿하다. 많은 사람들은 도덕과 윤리가 같은 단어이거나 따로 구분할 수 없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도덕과 윤리가 생각만 해도 골치 아픈 주제가 된 데에는 둘 사이의 구분이 모호한 이유도 한몫하였다.

도덕과 윤리에 대한 복잡한 정의가 있지만 우리가 알아야 할 도덕과 윤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도덕은 가치 규범이며 윤리는 행동 규범이다.’ 이 정의를 이해하면 도덕과 윤리에 대한 모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이 정의는 도덕철학자나 윤리학자가 내린 정의의 전부가 아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부딪치는 도덕과 윤리 문제를 쉽게 규정하기 위해 단순화 시킨 정의다.

이 정의는 도덕은 가치의 문제이며 윤리는 행동의 문제로 이해한다. 도덕과 윤리를 이렇게 이해하면 일상에서 만나는 도덕과 윤리 문제를 명쾌하게 정리하고 해법을 찾을 수 있다.

Ethics.Kr 사이트는 윤리와 도덕에 대한 이 정의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살아 숨 쉬는 윤리, 실패하는 않는 윤리를 꿈꾼다.

윤리(Ethics)와 자유(Freedom)

자유(Freedom)와 윤리(Ethics)는 동전양면과 같다. 자유가 없으면 윤리가 없다. 인간에게 선택과 행동의 자유가 있기 때문에 윤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윤리 없는 자유는 고삐 풀린 말처럼 어디로 갈지 모르는 불안정한 상태다.

인간이 자유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할 수는 있지만 하지 않거나 하지 말아야 할 선택과 행동이 있다. 불에 손을 댈 자유는 있지만 아무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 아무런 이유가 없어도 지나가는 사람을 때릴 자유는 있다. 그러나 역시 누구라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어떤 결과가 벌어질지 알기 때문이다.

윤리가 중요한 이유는 복잡한 결과가 예상되는 선택과 행동의 자유를 신중하게 발휘할 수 있는 지혜를 주기 때문이다. 자유는 선택의 자유다.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자유의 힘, 즉 선택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윤리는 자신뿐 아니라 모두에게 올바른 최선의 선택을 결정하는 지혜, 기술을 제공하는 안내자다.

Ethics.Kr 사이트는 선택과 자유의 힘은 윤리에서 나온다는 믿음으로 역동적인 윤리, 실패하지 않는 윤리를 꿈꾼다.

윤리와 인테그리티(Integrity)

정직(Honesty)과 인테그리티(Integrity)는 어떻게 다를까. 정직이란 단어의 의미는 간단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그대로 ‘마음에 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바르고 곧음’의 의미다. 인테그리티는 정직의 의미를 담고 있지만 정직보다 적용 범위가 넓고 깊다. 영어 Integrity는 정직과 Honesty와의 관계처럼 우리말로 직역할 수 있는 적절한 단어가 없다. 그래서 문맥에 맞춰 올곧음, 통전성, 성실, 정직, 진실 등 다양한 우리말로 번역한다.

인테그리티는 현실의 요구를 분석하고 현실적인 환경에서 정직을 유지하며 성과를 만드는 성품이다. 이익을 다투는 비즈니스 현장에서 정직을 유지하며 성과를 만들어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얼마나 많은 기업과 임직원들이 성과를 위해 정직과 윤리를 희생하는가.

인테그리티를 지녔다는 말은 현실의 상황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정직을 유지하며 고객이나 거래처, 기업의 이익을 지킨다는 의미다. 한 마디로 인테그리티는 현실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분석하여 문제 해결의 방향을 잡는 능력을 포함한 정직이다. 따라서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가 정직을 넘어 추구해야 할 성품은 성과를 만들어 내는 인테그리티다. 인테그리티는 일상의 삶에서 실패하지 않는 윤리를 만드는 힘이다.

Ethics.Kr 사이트는 정직을 넘어 인테그리티를 추구하며 비즈니스 현장에서 성과를 만드는 윤리를 꿈꾼다.

Ethics Blog

부끄러움과 두려움이 일으키는 양심의 오작동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은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수반합니다. 부끄러움보다 두려움을 더 크게 느끼면 우리 내면의 자기검열 시스템인 양심의 오작동을 불러일으킵니다. 연암사 출판사에서 출간한 [이제, 좋은 어른이 될 시간]의 김혜영 저자는 부끄러움과 두려움의 관계를 윤동주 시인을 통해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부끄러움을 느끼면 대부분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화끈거리며, 사람들과 눈을 맞추지 못하고 행동이 부자연스러워집니다. 부끄러운 사고와 행동을 …

성품(character)의 중요성

[인테그리티, 성과를 만드는 성품의 힘]의 저자 헨리 클라우드 박사는 두 자녀에게 성공에 관한 조언을 좀 들려달라고 요청하는 친구의 일화를 소개하면서 성품(character)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성품character’ 개념을 이해하려면 약간의 설명이 필요하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다음과 같은 질문만 던지면 누구나 바로 이해할 것이다. “두뇌 회전이 매우 빠르고 능력이 뛰어나 모든 일을 멋지게 해내지만 그 모든 …

좋은 어른이 되기 위해 윤리성을 회복하는 5단계 프로세스

옳고 그름, 선과 악을 도덕적으로 판단하는 양심은 윤리를 회복하는 마음속 자기 검열 시스템입니다. 연암사 출판사에서 출간한 [이제, 좋은 어른이 될 시간]의 김혜영 저자는 윤리성을 회복하는 5단계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우리는 다음 5단계 프로세스를 거쳐 윤리성을 회복합니다. · ‌현상을 관찰하고· ‌현재에 대해 자기 인식을 하고· ‌이 상황으로 영향을 받을 대상자들과 영향의 심도를 예측하여· ‌옳은 행동을 …

error: Content is protected !!